Core Ultra Series 2 에서만 사용할수 있는 Jedec 표준 메모리로 AMD 시스템에서는 기본 메모리로는 인식을 하지만 클럭 드라이브 관련 기능을 사용할수 없어서 Core Ultra Series 2 이외의 시스템에서는 구입할필요도 의미도 없는 제품 입니다.
Cu-Dimm 메모리가 6400 지원으로 신형 인텔 CPU가 6400 기본 지원이라 Cudimm을 사용하면 좀더 빨라질줄 알았는데 별거 없네요 결국 메모리 속도 빠른게 정답입니다. 오버클럭 되어 있는 XMP 등의 보다 빠른 메모리 성능이 더 좋았습니다.
6400 표가 2개인건 레이턴시가 너무 높게 나와 재부팅후 재측정을 해봤습니다.
5600 기본 세팅과 비교했을때 큰차이는 없었습니다. 신규로 구입하실때 같이 구입하시면 모르겠으나 기존에 5600이나 다른 메모리를 사용중이라면 굳이 바꿀 필요까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정도로 성능적인 체감은 느끼기 어려웠습니다. 읽고/쓰기 속도는 차이 나지만 상대적으로 느린 레이턴시가 발목을 잡는 느낌입니다.
아~ 큰 장점은 5600 메모리 테스트만 하더라도 공냉시스템이어서 그런지 온도가 50도까지 좀더 올라가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6400 시스템은 수냉에 케이스도 좀더 큰 사이즈에다가 그래픽카드를 아직 구하지 못해서 내부 발열이 최소화 되어 영향을 어느정도 받을수 있겠으나 처음 idle 시 온도나 벤치마크 테스트중 온도나 몇도 차이가 나지 않을 정도였었고 혹시나 하고 연속으로 여러번 테스트해봐도 온도변화가 크지 않았습니다. 40도 정도에서 머물렀습니다. 기존 5600메모리의 경우 삼성 메모리라 메모리 칩과 컨트롤부 차이가 있으니 직접적인 비교가 안되는 상황일수도 있겠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시스템을 좀더 장시간 써보며 확인해야 할부분도 있을듯 합니다.
오히려 오버클럭 잘하면 100기가 넘는 속도와 타이밍을 잡아주는게 속도는 빠르게 나오는거 같습니다.
추가 - 이상하게 성능이 잘 안나오는듯 했는데 역시나 설정하지도 않은 BitLocker가 백그라운드로 동작중이었습니다. 해제후 다시 측정해보니 어느정도 성능이 향상된걸 확인할수 있었습니다. 역시 예상했던 수준의성능이 나오네요..
개인적인 느낌은 팀그룹 Cudimm 메모리 모듈과 비슷한거 같습니다.
장점 - 기본설정으로 사용시 온도가 착하다 , 클럭 드라이브를 사용할수 있는 시스템에서 오버가 원할함
(물론 장착하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있으므로...)
단점 - 다른 시스템에서는 비싸기만한 기본 메모리로 인식하므로 클락 드라이브만 패스 되면 다행인데 컴퓨터란게 쓸데없는게 있으면 시스템에 따라 미묘한 오동작이 걱정되는 부분이 있는거 같습니다. 특히나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CPU/메인보드/메모리는 기본시스템이므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저가제품이나 써보지 않았던 제품을 손대기가 꺼려지는 부분이 있는거 같습니다. 아직 출시 초기, 가격에 거품이 있습니다. 인텔 최신 CPU에서만 지원하므로 활용성이 제한됩니다.
인텔 신형 시스템을 맞추시는 분들에게 선택의폭을 하나더 만들어 주는 부분은 있으나 기본 설정으로 쓰신다면 드라마틱한 변화는 없으므로 기대할만한 부분은 없습니다.
'PC > Hard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기] 시소닉 new Focus V4 GX-1000 ATX 3.1 Gold 파워 (0) | 2025.03.14 |
---|---|
[사용기] Arctic Freezer III 420 수냉 쿨러 (0) | 2025.03.14 |
[사용기] Asus Z890-P Wifi - CSM (0) | 2025.03.13 |
[사용기] 인텔 Core Ultra s2 7 265K (0) | 2025.03.13 |
[구입기] 인텔 265K / Z890 / Cudimm 6400 / 본체 (0) | 2025.03.12 |
[소식] 블루투스 6.0 ( Bluetooth 6.0 ) (0) | 2025.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