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arket.android.com/details?id=com.box.android
오늘 소개해드릴 유틸리티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Network Storage) 웹 저장소 라고 할까요?
오늘 소개해드릴 유틸리티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Network Storage) 웹 저장소 라고 할까요?
두종류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하는일은 비슷합니다만 성격이나 사용방법이 약간은 다릅니다.
Box.net 을 이용 접속 웹에서 파일 전송및 관리가 가능하며, 안드로이드에서 역시 Box.net 앱을 설치함으로써 해당 계정으로 접속 파일 접근이 가능합니다. 업로드해두었다가 필요할때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그림이라든지, 게임, 앱등을 box.net에 넣어두었다가 필요할때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사용할수 있는 그런식이죠..
그에 반해 드롭박스는 조금은 다른 형태로 동작하게 됩니다.
내 하드디스크의 일정 폴더를 지정하면 웹과 자동으로 연동되는 방식입니다.
회사에도 깔아두고, 집에도 깔아두고, 안드로이드에도 깔아두었다면, 회사에서 작성하던 문서를 집에가면서 살펴보고 집에서 수정하는 방식입니다. 하드디스크의 지정된 디렉토리는 자동으로 실시간 동기화됩니다.
문서를 작성 해당 디렉토리에 저장하게 되면 수정하면 바로바로 동기화 되어버립니다. 이후 집에서 컴퓨터를 켜고 네트워크가 연결되면 바뀐 문서가 동기화 되어 수정하던부분을 이어서 수정할수 있게 되는식입니다.
웹으로 접근하여 수정되었던 이력또한 확인할수 있으며, 해당 디렉토리는 동기화되므로 잘못 수정하는경우 난리가 날수도 있지만, 수정된 이력을 조사하여 이전파일을 다시 가져올수도 있게 한점등은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국내 uCloud, Ndrive 등등 네트워크 스토리지가 있습니다만 속도도 느린 box.net , Dropbox의 외국 서비스를 소개해드린는 이유는 다양한 플랫폼 지원을 장점으로 들수 있을것 같습니다. 리눅스 뿐만 아니라, 맥, 아이폰등과 연동이 가능하며,
느린 속도를 커버할 무언가가 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속도가 느린탓에 ㅜ.ㅜ 영화를 넣어두거나 좀 큰것들을 넣어두긴 부적합하겠지만, 안드로이드 앱이나 안드로이드용 게임과 같이 작은 용량이나 문서등을 저장하는데 적합할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기본적인 기능들은 무료로 등록 사용할수 있어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뭐 물론 국내 서비스 또한 무료로 사용할수 있는 부분이 있긴 하지만, ucloud의 경우 KT회선을 사용하는 분들에게만 무료이거나, N drive는 아직 베타버전이라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발전 여력이 있어보입니다.
불행히도 리눅스나 다른 플랫폼 지원계획이 없어서 다양한 활용면에선 부족하지만 휴대폰과 연계하여 사용하기엔 부족함이 없을수도 있을것입니다.
어디까지나 어떤 서비스를 이용할것인지는 본인이 선택하시는거죠 ^^; (전 소개만 ^^)
'Android > U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til] 알람 (0) | 2010.12.29 |
---|---|
[Util] Elixir Android Widgets (0) | 2010.12.28 |
[Util] Applanet, GoAPK, mAPPn (Public market #1) (2) | 2010.12.26 |
[Util] Quadrant (안드로이드 벤치마크 툴) (0) | 2010.12.23 |
[Util] Gmote (원격제어 유틸) (0) | 2010.12.21 |
[Util] VLC Stream & Convert, VLC Direct Pro , Qloud Media (아이폰의 에어비디오 같은 느낌..) (0) | 2010.12.19 |
댓글